딸과의 단풍마중
1km전방에 차를 주차하고 수종사를 향한다
모녀가 두런두런 헉헉
단풍은 절정이고
오르는 길은 무척 덥다
단풍앞의 모녀
전엔 없던 부처상
수종사에서 내려다 보이는 남한강과 북한강의 두물머리 양수리
수종사 대웅보전으로 모녀가 나란히
수종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의 말사이며 운길산 8부 능선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 초기에 중창한 사찰로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를 내려다보고 있다.
1458년 세조가 신병치료차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올 때 밤이 되어 이수두(二水頭=兩水里=두물머리)에서 하룻밤을 묵게 된다.
운길산 어디선가 은은한 종소리가 들려와 다음 날 숲 속을 둘러보게 하니, 천년고찰의 폐허 바위굴에는 18 나한상이 줄지어 앉아 있었는데 그 바위굴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처럼 들렸던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세조는 감동하여 지금의 자리에 절을 복원하게 하고 절 이름을 수종사라 부르도록 하였다.
조선 시대의 명문장가 서거정이 동방 사찰 중 제일이라 했을 정도로 절 마당에서 내려다보는 북한강 경관이 빼어나다.
6.25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팔각오층석탑만 당시 모습을 갖고 있다.(수종사에서)
세조께서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수령 500년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아름답기 그지없다.(한그루는 오른쪽에)
높이 35m, 가슴높이 둘레 6.5m에 이르는 만큼 수많은 가지가 두 팔을 벌리고 북한강을 내려다보고 있다
수종사5층석탑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五層石塔)은 고려 시대 팔각 석탑의 전통을 이어 조선 시대에 건립된 석탑이다.
출토된 사리장엄(舍利莊嚴)과 명문(銘文)을 볼 때 건립 연대는 늦어도 1493년에 건립된 이래 1628년에 중수(重修)했음을 알 수 있으며 왕실 발원의 석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양식을 보면 기단부는 불상대좌(佛像臺座)의 양식이고 탑신부는 목조건축의 양식이다.
상륜부는 팔작지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랫부분은 4각의 지대석이 받치고 있으며, 그 위로는 8각의 중대석·상대석·지붕돌이 층층이 쌓여 있다.
특히 꼭대기 부분에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이 아름다움을 더한다. 이처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건립연대가 확실하고 각부의 부재가 완전하게 유지된 조선 시대 팔각오층석탑으로서 역사적·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다.
2013년 보물 1808호로 지정되었다.
그 옆에 있는 부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는 태종의 다섯 번째 딸 정의 옹주의 부도다.
가운데 부분은 항아리처럼 둥글고 1439년(세종 21) 왕실의 발원으로 제작되었다.
원통형 탑신의 둘레가 218cm로서 운룡문이 화려하기 새겨져 있고, 두 마리의 용은 여의주를 움켜쥐고 구름을 뚫고 힘차게 비상하려는 자세가 금방이라도 움직이는 듯 생생하다
천서리 막국수 집으로...
IXUS
덥다더워!
오랫만에 딸과의 외출
첫눈의 뒷산 131213 (0) | 2013.12.13 |
---|---|
초겨울의 갈대습지공원 131120 (0) | 2013.11.20 |
의왕호수 130917 (0) | 2013.09.17 |
황룡사 130606 (0) | 2013.06.07 |
군포 철쭉 130513 (0) | 2013.05.14 |
댓글 영역